2023년 코스피 전망 코스피 레벨업 가능? 연준 금리 중국 경기 회복

안녕하세요 @피아나라 뚜두뚜두의 Behappy입니다. 오늘은 2023년 코스피 전망에 대해 알아보고 코스피 레벨업이 가능한지 알아보겠습니다.2023년 들어 증시는 약간의 랠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3년 1월 4일부터 오늘 종가인 16일까지 9영업일 연속 상승을 마쳤습니다.지수로는 2218포인트에서 2399포인트까지 181포인트, 약 8.2% 상승한 셈입니다. 드디어 주가가 저평가 국면을 지나고 있는 걸까요? 그리고 장중 2400을 돌파했다고 흥분하거나 서둘러 투자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2022년 작년 11월에도 이런 고민은 있었거든요!2470포인트를 두 번 터치하고 또 쓰러졌어요. 그렇기 때문에 코스피 전망이 연초 랠리를 시작으로 긴 랠리가 이어질 것으로 보기는 아직 어렵다고 보수적인 시각으로 보는 게 어떨까 싶습니다. 코스피 전망? 코스피 드디어 레벨업?

코스피 레벨업을 위한 두 가지 조건! 뭘까요? 1. 추가적인 밸류에이션 레벨업2. 실적전망 상향위원회의 두 가지 조건이 충족돼야 2023년 코스피 전망이 긍정적일 수 있습니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경민 전략가는 두 조건 모두 쉽게 달성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나씩 볼까요? 1. 추가적인 밸류에이션 레벨업

지금 2400선 부근 코스피지수의 밸류에이션은 2021년 최고치인 3200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선행 EPS(주당순이익)가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즉, 기업이 미래에 벌어들이는 이익이 줄어들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감안한 기업의 가치는 충분히 친 셈이다! 라는 견해입니다.

PER 지표만 봐도 12개월 선행 PER로 봤을 때 11.7로 2021년 하반기 최고점이었던 11.6을 넘어섰습니다. 2022년 말까지 코스피 PER이 낮고 저평가가 심하다! 라는 수많은 기사가 나왔지만 FWPER로 밸류에이션을 계산하면 저평가가 아닙니다!

이익이 줄어들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밸류에이션은 금리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금리를 좌우하는 것은 우리에게 은행입니다.그러나 은행은 한국은행의 정책을 따르고 한국의 금융정책은 미국 연방준비제도를 따릅니다. 그럼 연준의 금리 정책을 알아야 할까요? 1-1 연준의 금리는 어느 방향으로?

연준의 금리는 인플레이션, 그 중에서도 소비자물가지수라는 CPI에 의해 스탠스를 나타냅니다.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근원소비자물가지수(Core CPI)는 정점을 찍고 하락세로 접어들었습니다. 그렇다고 금리를 바로 내릴까요? 그렇지 않은 것 같아요.

위 기사는 희망 섞인 의견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지금까지 FOMC나 연준 의장 파월의 스탠스와 예상할 수 있는 금리 수준은 24년 1월에 4.16% 수준까지 낮아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 기준금리인 4.25%~4.5%에서 낮아진다는 얘기인데 지금이 최고점인가?

현재로서는 2월에 25bp를 다시 올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금리가 곧 정점을 찍고 하반기에는 하락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기대감은 점점 높아지는 시점입니다. 문제는 금리가 고점을 일정 기간 유지하는 동안 소비심리가 살아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른 실적 전망 향상 조정이 앞서 말씀드린 코스피 전망 레벨업의 두 번째 조건입니다. 2. 실적 전망의 향상 조정

코스피 대표 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모두 경기 부진에 따른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했습니다.

실적 전망이 상향 조정되는 다른 촉매나 조건은 없을까요? 중국의 경기 회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경민 투자전략가

다만 중국의 경기회복 기대감도 곧 실망으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방역조치 완화가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지만 중국의 GDP 성장률 전망은 낮아져 이 같은 기대심리가 반영될지는 의문입니다. 전형적인 약세장의 마지막 국면 패턴

이·경민 투자 전략가는 지금의 KOSPI가 전형적인 시장 약세의 마지막 국면의 패턴을 띠고 있다고 합니다.먼저 설명한 2가지 조건 1. 추가적인 밸류에이션 레벨업 2. 실적 전망 상향 수정 이를 달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그러나 물가가 안정되고 이에 따른 통화 정책이 완화된 가운데 달러 가치가 유지되면 반도체, 이차 전지, 인터넷 자동차 업종을 중심으로 “23년 제2분기 이후 코스피 전망은 경기 회복과 함께 강세를 예상하고 있습니다.이상 2023년의 코스피 전망과 KOSPI수준 향상이 가능한지에 대해서 이·경민 투자 전략가의 리포트를 분석하고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제 개인적인 의견은 최대한 배제했습니다만, 리포트의 의견도 언제라도 전망이 바뀌거나 잘못될 가능성이 있습니다.여러분의 소중한 자산은 여러분의 금융 지식과 지혜를 동원하고 현명한 판단 아래 투자하기를 바랍니다.#코스피전망 #코스피지수 #레벨업 #연준 #금리 #중국경기회복

error: Content is protected !!